한미사진미술관은 사진의 특성과 미학 성찰을 넘어 인간, 제도, 문명, 이데올로기, 환경,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현대 사진의 다양성을 보여준 1990년대 사진가들 중추로서 그들의 현주소를 조명하는 전시를 기획,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8년 8월 박기호 사진전, 김중만 사진전에 이어 오는 2월 23일부터 5월 18일까지 민병헌의 《이끼》를 소개한다. 민병헌 사진전 《이끼》는 정통 아날로그 사진의 형식으로 보여주는 사진가 민병헌의 신작이다.
1987년 《별거 아닌 풍경》에서부터 사진가가 어떻게 대상을 보는지, 어떤 것에 관심을 두고 있는지를 분명히 제시하며 완벽한 프린트를 통해 새로운 세상을 창조해 왔다. 그의 사진은 중립적인 빛에 집중하였었고 길가에 밟히는 작은 풀, 거친 땅과 같은 풍경을 발표하면서 사진의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무너트렸고 같은 대상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가에 집중하였다. 그 삶의 터전에서 누적된 경험과 시간이 내면에 켜켜이 쌓여 작품으로 발현된다. 그렇게 민병헌이 발붙이고 사는 땅과 더불어 “그다움”을 만들어갔다.
이번 전시에서는 민병헌의 특허라고 볼 수 있던 아련한 중간톤은 없다. 민병헌은 혼자서 천천히 걸으며 눈에 들어오는 빛과 바람을 수집한다. 군산으로 터전을 옮기면서 예전과 다른 강한 톤, 다양한 빛을 보게 되었다고 한다. 빛을 찾아 헤매고 땅의 숨소리에 이끌려 보이지 않는 빛과 시간의 흔적의 끝에서 마주한 깊고 음습한 지역. 그 마주한 원초적인 생명 군생하는 이끼의 모습을 소름 돋을 만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이끼는 육상 생활을 시작한 최초의 식물군이다. 보통 식물의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대지에 바짝 붙거나 나무와 돌에 공생한다. 강렬한 태양 빛이 드리우는 그 순간 물기를 품어내면서 보이는 반짝임을 통해 이끼의 모습을 구별할 수 있고 돌과 나무에 기대거나 엎드린 형태로만 그 범위를 추측할 수 있다. 태초부터 지금까지 살아있는 끈질김, 물과 빛을 품은 후 발산하는 축축하고 끈적한 불편한 존재감 그리고 이끼를 키워내는 음습한 곳의 척박함과 디테일을 과감하게 드러낸다. 가끔은 보일 듯 말 듯 형체를 감추고 드러나지 않은 듯 평온하다 싶지만 와글와글 군집한 현상이 섬뜩하기도 하다.
본다는 것은 세계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생의 본질이다. 어느 순간 도착한 깊숙한 자연 속에서만 보이는 것, 그리고 눈 앞에 있어도 본질을 확신할 수 없는 그렇게 매일매일 다르게 보이는 것들을 붙잡을 수 없는, 공허한 아름다움과 빛을 따라 여전히 그는 민병헌의 방식으로 세상을 본다. 그리고 지금도 변함없이 별거 아닌 것을 특별한 눈으로 세상을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