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사진미술관은 사진의 특성과 미학 성찰을 넘어 인간, 제도, 문명, 이데올로기, 환경,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현대 사진의 다양성을 보여준 사진가들의 근황을 알아보고 한국 사진의 중추적 역할을 감당하고 그 현주소를 조명하는 대표 작가들의 개인전 기획하여 선보이고 있다. 박기호, 김중만, 민병헌 작가의 전시에 이어 오는 10월 12일 구본창 사진전 《Incognito》를 개막한다.
사진 속 숨겨진 자아
세대의 가치나 행동 양식은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세대 간의 상호작용과 문화의 큰 흐름을 통해 퍼져간다. 1980년대는 산업화 세대의 열심 덕분에 이전부터 이어져온 생존에 대한 걱정은 어느 정도 해결되었고, 민주화 세대의 헌신에 힘입어 세대별 가치관, 시회 문제에 대한 인식, 문화생활 등 일상 영역에서 순차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한 사회로 접어든 1990년대에 한국 현대사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새로운 세대의 사진가들이 담아낸 일상적 시각은 시대와 문화의 스냅숏을 만들어냈다. 사진가 구본창은 그 새로운 사진의 가장 앞에 있었다. 사회적인 영향 탓인지 당시 한국 사진은 지나치게 저널리즘에 빠져있거나, 또는 심미적인 사진으로 양분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구본창은 자신만의 시선으로 사물과 사건을 대하였다. 평범한 사람으로 서울을 떠나 독일 유학길에 올랐고 사진가로 돌아와 익숙하던 곳에서 혼자만 느끼는 낯섦과 소외, 예술가로서 느끼는 고민, 빠르게 사라지는 자신의 흔적 등 내면의 깊은 사색을 보여주며 자신을 혹은 시대를 작업에서 드러내왔다. 그 연장된 시선을 최신작《Incognito》에서 선보인다.
《Incognito》는 일상의 풍경과 소소한 사건이 일어나는 도시에 대한 경험을 더욱 성숙한 정체성을 기반으로 보여준다. 허름한 공간, 쓸쓸하고 해석이 모호한 풍경, 그럼에도 숨 가쁘게 압박하는 도시의 혼란을 익명으로 포착한다. 그리고 이제는 사라졌을 도시의 기호를 발견해 사진으로 남긴다. 이것이 구본창의 사진이 품은 시대성이다. 구본창은 사진을 통해 숨겨진 자아를 찾았고, 매우 조용히 그리고 분명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 그의 사진은 사실인지 아닌지, 어디인가와 관계없이 그가 보는 세상이며, 대상을 마주 보면서 확인하는 자신의 모습인 것이다. 사진 뒤에 숨겨진 자아를 보여주고자 하는 욕망. 그것이 자신의 내면이든 외면이든, 또는 하나의 작품이든 그 자체는 궁극적으로 파편적인 자아일 수 밖에 없다. 결국 구본창의 사진은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독백이며 일기이다.
1980년대에 서울 곳곳을 다니며 찍었던 그때의 느낌은 이제 없다고 구본창은 말한다. 시간이 바뀌고 도시가 변했지만 사진가의 눈은 변함이 없다. 고개 숙인 무덤덤한 시선, 더디게 옮기는 발걸음. 연민 가득한 시선으로 부드러운 천이나 장애물을 통과하여 밖에서 안을 들여다본다. 매끈한 표면과 다양한 질감들로 가득한 도시의 익숙함, 무언가로 채워져 있다가 비워진 공간의 낯섦은 너무도 익숙한 동시에 생경한 파편적 이미지로 기억된다. 어디선가 본 듯한 현실과 처음 보는 듯한 이미지와의 묘한 경계, 그 거리두기를 반복하면서 사진가의 시선은 어디론가 사라져버리고 익명자로서 스스로를 사진 속에 숨긴다. 연속성 없는 유사한 이미지들이 반복되기도 하고, 기억에서 잊혀지거나 숨겨진 감정들이 드러나거나, 현실과 다른 꿈에서나 본 듯한 혼란스러운 느낌이 반복된다. 모호한 패턴들과 기호가 우리 사고 깊숙한 곳에 묻어둔 불안한 삶의 한 자락, 소외된 감정들을 자극한다. 이 전시를 통해 구본창을 둘러싼 세계가 무엇이며, 그 가운데 무엇을 선택했는가 그리고 어떻게 표현했는가를 직접 대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자 한다.
또한 이번 전시 《Incognito》 연작의 바탕이 된다고 할 수 있는 1985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흑백 사진 작업, 《긴 오후의 미행》 연작을 미술관 20층 제 3전시실에서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전시와 연계하여 『Incognito』 사진집이 발간되는데, 55점의 컬러와 흑백 작품과 스페인 독립 큐레이터 알레한드로 카스테요테의 글이 실렸다. 10월 12일 개막식과 더불어 〈북 사인회〉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전시 기간 중 작가와 함께하는 아티스트 토크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예정되어 있다.